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드론·플라잉카
    국내주식 2022. 7. 20. 00:43

    [드론·플라잉카]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1.54% 상승세이다. 제이씨현시스템(033320) +2.86%, 나무가(190510) +2.75%, 매커스(093520) +2.60%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군사용에서 건설·농업 등 민간용으로 시장 확대 추세?
    새 정부 2025년까지 UAM(도심항공모빌리티) 상용화 목표?
    '22년부터 현대차·SKT·카카오 등 53개 기업 K-UAM 실증 사업 참여드론은 무선전파로 조종할 수 있는 카메라, 센서, 통신시스템 등이 탑재된 비행기·헬리콥터 모양 비행체를 의미.
    리모컨의 무선전파를 활용해 비행과 조종이 가능.
    드론은 2000년대 초까지만 해도 군사용 무기 중 하나로만 인식되어 왔으나 2010년 국제 전자제품박람회(CES)에서 프랑스 패럿사의 스마트폰으로 조종 가능한 AR드론이 소개되면서 레저·상업용 드론 사업에주목받음.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전투용 드론 산업 재주목. 우크라이나는 터키의 Baykar Defense에서 생산한 TB2드론으로 러시아의 발사 로켓 시스템을 무력화시키고, 러시아군의 전차와 인력수송기를 격추 시킴.
    드론이 전장에서 효율적이라는 점이 입증되면서 드론 산업 전체에 더 많은 투자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출처: 현대차증권). 새 정부도 전투 현장에 드론을 활용한다는 계획(2022.05.03).건설업, 농업, 광산업 등에 드론을 활용하는 산업용 드론 시장도 확대되는 추세.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국내 드론산업 시장 규모는 2016년 704억원에서 2020년 4945억원으로 성장. 새 정부는 드론을 활용해 물류산업 첨단화를 지원하고, 시설물 안전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발표(2022.05.03).이른바 ' 에어택시', '드론택시', '플라잉카' 등 소형 항공기를 활용한 미래 교통서비스인 도심항공모빌리티(UAM: Urban Air Mobility)도 정부의 지원과 시장 선점에 나서는 기업들이 늘어나면서 산업 성장세는 더욱 탄력을 붙을 것으로 기대.

    새 정부는 '110대 국정과제' 발표를 통해 2025년까지 UAM 상용화를 위한 인프라 및 법·제도, 실증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발표(2022.05.03).국토부는 도심항공교통(UAM)의 상용화를 위한 대규모 실증사업인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그랜드 챌린지'를 2022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 그랜드 챌린지는 상용화를 염두에 둔 신기술과 연구개발 성과물 등을 실제와 유사한 환경에서 시험해보는 대규모 실증사업. 이 사업에는 현대자동차, 한화시스템, SK텔레콤, 카카오모빌리티, 대한항공 등 53개 기업과 42개 기관 참여.

    현대차그룹은 드론에 이어 도심형 이동수단(UAM) 중 '플라잉 카' 사업에 박차를 가하는 상황. 플라잉 카는 하늘을 나는 소형 이동수단으로 빌딩 옥상이나 별도의 이착륙장 등을 활용해 동선 최적화한 미래 이동수단.현대차 그룹은 UAM 사업부를 신설하고, UAM 핵심 인프라인 플라잉카 공항 '에어원' 건설에 착수해 5년간 전 세계 200개 플라잉카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계획 발표(2021.01.29). 또한 UAM 미국법인인 '슈퍼널'을 통해 2022년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UAM 연구개발(R&D) 시설을 여는 것을 시작으로, 2028년 뉴욕·샌프란시스코·로스앤젤레스 같은 주요 대도시에서 공항과 도심의 주요 거점을 오가는 운항 서비스를 개시할 계획. 이밖에도 바이든 대통령 한미정상회담 방한을 맞이해 2025년까지 UAM, 자율주행 서비스, 인공지능, 로보틱스 등에 50억 달러 투자 발표(2022.05.22).

    미국은 2023년 UAM 운행 허가를 목표로 관련 작업을 진행 중이어서 전세계에서 UAM 상용화가 가장 먼저 이뤄질 것으로 예상.한편, 글로벌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글로벌 UAM 시장 규모가 2020년 70억 달러에서 2040년 1조500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

    ※ 테마는 종목 추천이 아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상기 종목의 투자로 인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본문에 실린 전망 및 예측은 증권사, 경제연구소, 시장조사기관, 사업보고서 등의 자료를 기반으로 합니다.

    관련 종목

    종목등락률종목설명

    제이씨현시스템(033320)+2.86%
    컴퓨터 그래픽카드 유통사. 세계 최대 드론 전문업체인 중국 DJI의 국내 공식 공급 업체. 드론 플랫폼 비즈니스인 '드론플라이(DroneFly) 3.0'을 발표하는 등 드론 플랫폼 서비스 사업을 확대하는 중.

    나무가(190510)+2.75%
    카메라 모듈생산업체로 스마트카와 드론용 3D 카메라 등 신사업 투자 진행 중.

    매커스(093520)+2.60%
    비메모리 반도체 수입 유통사로, 드론 시스템의 메인프로세서 공급. 동사가 공급하는 고사양 제품 자일링스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가 드론 시스템의 메인 프로세서로 활용.

    퍼스텍(010820)+2.54%
    후성그룹 계열의 방위산업 전문업체. 한국도로공사와 고속도로 교량점검용 드론관련 기술 개발을 위한 MOU 체결. 무인항공기사업을 영위하는 유콘시스템을 종속회사로 보유. 유콘시스템은 방위사업청과 대대정찰용 무인항공기 구매사업 체결. 국토교통부 주관 "무인비행장치 활용 신산업분야 안전성 검증 시범사업" 등 참여.

    엠씨넥스(097520)+2.44%
    카메라 모듈 전문업체로 드론용 카메라 시장 진출.

    네온테크(306620)+2.40%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화 설비 업체. 드론 사업부 신설 이후 물류 분야 산업용 드론 관련 국책 과제 등을 수행.

    해성옵틱스(076610)+2.28%
    렌즈 및 카메라 모듈 등 광학부품 전문업체. 드론용 카메라모듈을 중국의 천진법인에서 생산중. 세계 3대 드론업체인 프랑스 패럿사에 드론용 카메라 모듈 공급.

    한빛소프트(047080)+2.10%
    드론 업체 한빛드론의 지분 53.7%를 보유. 한빛드론은 글로벌 드론 제조업체 디제이아이(DJI)의 공인 국내 딜러로 선정(2021.12.31 기준).

    노블엠앤비(106520)+2.05%
    광 응용 시스템을 개발, 생산하는 광학전문 기업. 항공(드론) 및 해양(인명 구조, 재해 예방 및 처리) 분야에 사용되는 첨단 무인 로봇 개발기업인 스타크의 최대주주. 첨단광학렌즈(드론 카메라) 사업을 스타크와 공동으로 추진.

    휴니드(005870)+1.89%
    전술통신용 무전기, 특수장비 등을 만드는 기업. 드론 운용에 사용되는 데이터링크 솔루션 공급.드론 운용에 사용되는 데이터링크 솔루션 공급. 수직 이착륙 드론의 통신 기술 개발.

    기산텔레콤(035460)+1.16%
    항공 전방향표시장치, 거리측정장치 등을 개발하는 모피언스의 지분 81.69% 보유(2021.12.31 기준).

    베셀(177350)-0.14%
    종속기업인 베셀에어로스페이스(지분율 46.5%)가경량항공기 양산 경험을 기반으로 국토부와 산업부가 추진중인 ‘자율비행 개인항공기(OPPAV)’ 개발 국책 과제 사업에 참여중(2021.12.31 기준).

    피씨디렉트(051380)-4.93%
    해외에서 IT 부품을 수입하여 국내에 판매하는 유통업체. 사물인터넷 기반의 드론을 출시. 국내 최초로 세계 1, 2위 드론 업체인 중국 DJI, 프랑스 패럿사의 드론 제품을 판매.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철금속-구리 관련주식  (0) 2022.07.20
    배합사료, 첨가제 테마  (0) 2022.07.20
    비철금속 니켈  (0) 2022.07.20
    방산주  (0) 2022.07.16
    비차익 거래  (0) 2021.11.17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