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KIWOOM Steel&Metal WEEKLY  국내 철강가격 인상 본격화 12월 3주차 (12.12 ~ 12.18)
    기타 2020. 12. 21. 15:06

    철강: 글로벌 철강가격 강세 지속, 국내가격 인상 본격화



    ▶ 중국 철강시황은 주초 발표된 11월 생산/투자/소비지표 호조에 경기회복 기대감이 지속되자 철강선물가격이 2주 연속 급등세를 보이며 유통가격 상승세를 지지, 열연 유통가격은 2011년 10월이후 최고치



    - 철광석은 선물시장 강세에 현물가격도 6주 연속 상승하며 $160대를 돌파. 단, 중국 정부의 가격 급등에 대한 조사 움직임에 상승탄력은 둔화. 한편, 중국 내수 석탄가격 강세에도 호주 강점탄은 여전히 $100근처에서 약보합



    - 미국 내수 열연가격이 2018년 8월 이후 처음으로 $1,000대를 돌파하는 등 글로벌 철강가격 상승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POSCO가 1월 주요제품가격 인상을 발표하며 국내 철강가격도 상승세 본격화



    ◈ POSCO, 유통향 열연가격 1월 3~5만원 인상하고 2월에도 추가 인상 검토, 실수요향 열연가격도 1월부터 5만원 인상. 한편 유통향 후판은 3만원, 유통향 냉연도 4~5만원 인상



    ◈ 세아제강, 열연가격 인상을 반영해 1월부터 강관 전제품 할인폭을 3% 축소. 동국제강 12/15부터 비조선향 후판 3만원 인상, 1월에도 3~5만원 추가인상 고려 중





    비철/귀금속: 구리 $8,000대 근접, 금은 3주 연속 상승



    ▶ 주간 비철은 중국 지표호조와 미국 백신접종 및 추가부양 합의 기대감에 구리를 중심으로 상승. 구리는 금요일 장중한때 $8,000대를 돌파하며 비철금속 상승세를 주도



    ▶ 주간 귀금속은 미 추가부양책 기대감과 달러약세에 상승. 금가격은3주 연속 상승하며 $1,900대에 근접했고 은가격은 약 8% 급등. 한편, 비트코인은 한주만에 27% 급등해 신고가 기록



    - 금요일 메탈가격은 전일대비 구리 +0.8%, 아연 +0.6%, 연 -0.0%,니켈 -0.2%, 금 -0.2%, 은 -1.0%





    Global Peer 주가: 지역별 혼조



    ▶ 철강: Arcelormittal +9.2%(시장대비 +7.5%), Nippon Steel -1.4%(-1.9%), Baosteel +2.0%(+0.5%), Angang(HK) +1.8%(+1.9%), US steel -7.9%(-9.1%)



    ▶ 비철: Alcoa -3.6%(시장대비 -4.9%), Mitsui Mining+8.7%(+8.0%), Glencore +2.0%(+2.3%), ZhuZhou Smelter +1.7%(+0.1%)- U.S. Steel Sees 4Q Adj Ebitda 가이던스 $55M 제시해 컨센서스$95.3M 하회할 것으로 전망. 금요일 주가는 -9.1% 급락





    주요 뉴스



    ▶ POSCO, 유통향 열연가격 1월 3~5만원 인상하고 2월에도 추가 인상 검토, 실수요향 열연가격도 1월부터 5만원 인상. 한편 유통향 후판은 3만원, 유통향 냉연도 4~5만원 인상



    - 세아제강, 열연가격 인상을 반영해 1월부터 강관 전제품 할인폭을 3% 축소. 동국제강 12/15부터 비조선향 후판 3만원 인상, 1월에도 3~5만원추가인상 고려 중



    ▶ 중국 11월 조강생산량 8,766만톤(-5%MoM, +8%YoY)으로 7개월래 최저치. 동절기 감산으로 MoM 감소했지만 11월 누계 생산량은 9.61억톤(+6%YoY)으로 꾸준한 증가세



    ▶ 철광석 선물가격이 급등하자 대련선물거래소(DCE)가 12/21부터 철광석선물 일간거래세(intraday trading fee)를 기존 0.01%에서 0.04%로 대폭인상



    - 최근 철광석가격이 급등하자 중국철강협회는 철광석시장의 투기적 세력과 호주 업체들의 공급제한 여부에 대해 정부차원의 조사가 필요하다고 시장을 압박함



    ▶ 중국 공업신식화부(MIIT), 신규 철강설비에 대한 기존 생산능력 폐쇄 의무치 상향계획. 대기오염 집중관리 지역은 기존 1:1.25에서 1:1.5로(100만톤 신규증설시 기존설비 150만톤 폐쇄), 다른 지역은 1:1에서 1:1.25로 상향



    ▶ 일본 완성차업계가 냉연제품 등 자동차부품소재 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도요타자동차가 4일부터 일부 차량 조립라인 가동을 일시 중단했다고 언론보도, 철강가격 인상에 긍정적- 한편 일본 JFE스틸은 최근 원재료가격 인상을 반영해 자동차 부품에 주로 들어가는 특수강봉강 및 선재 내수판매가격을 1월부터 1만엔 인상



    ▶ 일본철강연맹(JISF), FY20(20/4/1~21/3/31) 일본 조강생산량이 0.81~0.82억톤으로 FY19 0.98억톤대비 대폭 감소하고 FY21에도 0.85~0.90억톤에 그칠 것으로 전망



    - 한편 일본 최대 철강사 Nippon Steel은 중장기 일본 철강수요 감소를 반영해 일본내 생산능력은 점진적으로 축소하고 해외 생산능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방침



    ▶ YK스틸, 부산공장 이전을 위해 모회사 대한제강으로부터 당진부지 5.4만평을 391억원에 매입하고 선제적으로 30만톤 규모의 1압연공장 가동을 내년 1/1부터 중단 계획- 1압연 중단으로 남는 빌렛은 상공정이 부족한 대한제강에 판매해 매출과 영업이익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예상



    ▶ POSCO, 음극재 사업 강화를 위해 아프리카 탄자니아의 마헨지 흑연광산을 보유한 호주 Black Rock Mining사의 지분 15%를 750만달러에 인수



    - 포스코케미칼의 음극재 생산능력은 현재 4.4만톤에서 23년 12만톤, 30년 26만톤으로 확대 계획. 또한 30년 리튬 22만톤, 니켈 10만톤, 양극재40만톤 생산체제 구축 준비



    ▶ 중국 11월 정련구리(구리메탈) 생산량 94.5만톤(+3%MoM, +1%YoY)으로 사상 최고치 기록(기존 19년 12월 93만톤). 11월 누계 생산량은 942만톤(+6%YoY)으로 꾸준한 증가세



    - 11월 정련아연(아연메탈) 생산량 58.0만톤(-1%MoM, -1%YoY)으로 6개월만에 MoM 감소 반전. 11월 누계 생산량은 582만톤(+3%YoY)으로 증가율은 전년 +9%YoY 대비 둔화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