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Universal Display
    해외주식 2020. 7. 27. 10:16

     미국 나스닥에 상장해있는 Universal Display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주가는 156.69불 입니다.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기술 및 재료 의 개발자이자 제조업체이며 디스플레이 및 조명 산업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또한 OLED 연구 회사 이기도합니다 . 1994 년에 설립 된이 회사는 현재 인광 기반 OLED 및 유연하고 투명하며 적층 된 OLED의 상업화를 위해 전 세계적으로 3,000 개가 넘는 특허 및 특허 출원에 대한 독점적, 배타적 또는 독점적 사용권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조명 응용 프로그램. 인광 OLED 기술 및 재료는 Samsung , LG , AU Optronics 와 같은 회사에 라이센스가 부여되고 공급됩니다.

     UDC는 Sony , DuPont 및 Novaled를 포함한 다른 많은 회사와 협력하고 있습니다. 2009 년에 UDC는 "실제로 시중의 모든 AMOLED 가 우리의 기술을 사용 합니다"라고 주장했습니다 . (위키백과)

     

    Univ.Display의 실적 그래프 입니다.

     

    5월의 한국투자증권의 리포트를 참조해보겠습니다.

     

    예상을 상회한 소재 수요
    1분기 매출액은 1.12억달러(+28% YoY, +10% QoQ)로 컨센서스를 22% 상회했다. EPS는 0.8달러로 컨센서스를 30% 상회했다. 올해 2월에 제시한 2020년 연간 매출액 가이던스(4.3~4.7억달러)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철회했다. 컨센서스를 상회한 이유는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중국 패널업체의 소재 재고축적 수요가 강했고 중저가 스마트폰에서 OLED 패널의 채용이 확대돼 전년대비 매출액이 증가한 영향이다. BOE향 매출액은 전년대비 두배 이상 증가한 26백만달러로 전체 매출액에서의 비중은 23%로 전년대비 10%p 상승했다. LG디스플레이 광저우향 매출액은 5백만달러로 감소했는데 공장 가동 정상화가 지연돼서다. 

     

    2분기 실적 둔화 vs. 3분기 실적 반등
    OLED 패널을 탑재하는 스마트폰과 TV의 수요 둔화가 2분기에도 계속될 전망이고 1분기에 이미 소재 축적 수요도 나타나 출하량 증가가 어렵다. 삼성디스플레이가 갤럭시A, M 시리즈향 리지드 OLED 생산을 전년대비 늘리겠지만 갤럭시S20 등 하이엔드 스마트폰 수요 둔화 영향이 이를 상쇄할 전망이다. LG디스플레이 광저우향 소재 출하도 패널 양산 지연에 늘기 어렵다. 중국향 소재 출하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3분기 실적은 강한 반등이 예상되는데 애플 아이폰향 OLED 패널 생산과 LG디스플레이 광저우 공장의 가동률 상승, 중국 패널업체의 양산 재개 때문이다. 일시적인 패널 수요 충격에서 회복되는 하반기 주가 상승을 예상한다. 

     

    투자 아이디어는 변하지 않았다. 매수 추천
    하반기 업황 개선과 실적 모멘텀이 다시 나타날 전망이어서 저점 매수 접근을 지속 추천한다. 코로나-19에도 고객사 다변화, 신제품 효과, OLED 채용률 상승에 따른 시장 규모 증가세는 계속되기 때문에 우리가 지속적으로 제시했던 투자 아이디어는 훼손되지 않았다. 최근 중국의 중소형 OLED 라인 증설 모멘텀이 다시 부각되고 있다는 점이 이를 반증한다. 

     

     정보가 많이 나오진 않는데, 눈여겨 보고 있습니다.

     

    '해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 주가  (0) 2020.08.28
    스타벅스 (SBUX)  (0) 2020.07.29
    테슬라 주가  (2) 2020.07.23
    은 값 전망  (0) 2020.07.22
    넷플릭스 주가  (0) 2020.07.18

    댓글

Designed by Tistory.